티스토리 뷰

32x32이미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새해를 맞아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반가운 소식을 들고 왔습니다. 바로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사업'인데요, 아이를 낳고 키우는 데 큰 부담이 되는 주거비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라면 꼭 주목해주세요!

서울시 출산 가구 주거비 지원

2년간 최대 720만 원 주거비 지원!

서울시는 저출생 문제 극복을 위해, 2025년 새해에 태어난 아이가 있는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2년간 최대 720만 원(월 3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특히, 다태아나 추가 출산 시에는 1명당 1년씩 추가 지원하여 최대 4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하니, 다자녀 가정에게는 더욱 큰 혜택이 될 것 같습니다.

왜 주거비 지원이 필요할까요?

서울에서 아이를 키우는 데 가장 큰 부담 중 하나가 바로 주거비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의 월 주거비 차액을 지원하여, 아이가 태어나도 서울에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입니다.

지원 대상 및 조건은?

기본 자격 요건

  • 출산일: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자녀가 있는 무주택 가구
  • 거주지: 신청일 기준, 신청자(부 또는 모)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자녀가 서울시에 출생신고 되어 있어야 함
  • 신청 기한: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2025년 기준, 3인 가구 연간 108,547,625원, 4인 가구 연간 131,711,897원)
  • 기타: 주거 관련 정부 및 서울시 정책 수혜자는 제외 (국토부 신생아특례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등)

지원대상
주거비 지원대상

주거 요건

  • 주택 소유 여부: 신청자(부 또는 모)가 무주택이어야 함
  •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제외
  • 주택 조건: 서울 소재 전세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임차 주택
    • 전세보증금 이자 납부 또는 월세 납부액이 있어야 하며, 납부액이 30만 원 미만일 경우 납부액만큼 지원
    • 반전세 가구는 전세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납부 중인 월세의 합산액이 130만 원 이하여야 함

지원내용주거조건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5월 ~ 7월 (3개월간)
  • 신청 대상: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기간 출산한 무주택 가구
    • 2025년 7월 1일 이후 출산 가구는 2026년 상반기 접수 예정
  • 신청 방법: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신청
  • 제출 서류:
    • 확정일자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전체 사본
    • 금융거래확인서 또는 월세이체증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 (부, 모 각 1부)
    • 가족관계증명서 (부, 모 각 1부)

신청시기

주거비 지급 방법

주거비는 6개월 단위로 4회에 걸쳐 분할 지급되며, 전세 대출 이자 또는 월세 납부 내역에 대해 사후 지급됩니다. 최종 지급은 2025년 12월에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자녀출산 주거비지원 추진일정

주거비 지원 놓치지 마세요!

출산 후 주거비 부담으로 고민하고 계셨던 분들께는 정말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2025년 5월부터 7월까지 몽땅정보 만능키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잊지 말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사항:

  • 다산콜센터: 02-120

더 궁금한 사항이나 자세한 내용은 ‘몽땅정보 만능키’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