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월 23일,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기아, 메르세데스-벤츠, 테슬라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11개 차종 343,250대에 대한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리콜은 각 차량에서 발견된 제작 결함으로 인한 것으로,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해당 차량 소유주분들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리콜 대상 차량 모델, 결함 원인, 시정 조치 방법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분들의 안전 운행을 돕고자 합니다.
리콜 대상 및 결함 내용 상세 분석
1. 현대자동차 (총 160,955대)
- 포터Ⅱ EV, 포터 Ⅱ LPDi (141,125대):
- 결함 원인: 12V 배터리 센서 설계 오류로 센서 내부 수분 유입 및 단락 발생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2월 3일부터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19년 7월 19일 ~ 2024년 10월 31일
- 넥쏘 (19,830대):
- 결함 원인: 비상점멸표시등 스위치 내구성 부족으로 작동 불량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1월 23일부터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17년 10월 1일 ~ 2021년 12월 24일
2. 기아 (총 175,802대)
- 쏘렌토 하이브리드, 쏘렌토 (89,598대):
- 결함 원인: 바디도메인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중 전조등 일시적 꺼짐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1월 24일부터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23년 7월 24일 ~ 2024년 7월 8일
- 봉고Ⅲ EV, 봉고 III (86,204대):
- 결함 원인: 12V 배터리 센서 설계 오류로 센서 내부 수분 유입 및 단락 발생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1월 31일부터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20년 1월 15일 ~ 2024년 10월 23일
3. 메르세데스-벤츠 (총 4,068대)
- S 580 4MATIC, Maybach S 580 4MATIC (4,068대):
- 결함 원인: 엔진 컨트롤 유닛 소프트웨어 오류로 배기가스 온도 상승 및 화재 발생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1월 16일부터 진행 중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20년 7월 9일 ~ 2021년 11월 16일
4. 테슬라 (총 2,425대)
- 모델Y, 모델3 (2,425대):
- 결함 원인: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소프트웨어 오류로 경고 장치 미작동 가능성.
- 시정 조치: 2025년 1월 14일부터 진행 중
- 대상 차량 생산 기간: 2024년 4월 16일 ~ 2024년 11월 9일
내 차 리콜 대상 여부 확인 방법
- 자동차리콜센터 웹사이트 방문: www.car.go.kr 또는 모바일 m.car.go.kr 접속
-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 입력: 웹사이트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여 리콜 대상 여부 확인
- 전화 문의: 자동차리콜센터 (080-357-2500) 또는 각 제작사 고객센터로 문의
- 현대자동차: 080-200-6000
- 기아: 080-200-2000
- 메르세데스-벤츠: 080-001-1886
- 테슬라: 080-617-1399
리콜 관련 추가 정보
- 제작사 연락: 각 제작사는 리콜 대상 차량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 방법을 안내합니다.
- 수리비 보상: 리콜 발표 전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리콜 기간: 리콜은 각 제작사 일정에 따라 진행되며, 기간 내에 시정 조치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리콜은 안전과 직결된 문제
이번 리콜은 운전자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해당 차량 소유주께서는 반드시 리콜 대상 여부를 확인하시고 안전 점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자동차리콜센터 웹사이트 또는 각 제조사 고객센터를 통해 상세한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안전 운전은 물론, 차량 결함으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적극적인 리콜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제 차가 리콜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1. 자동차리콜센터 웹사이트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하거나, 각 제작사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Q2. 리콜 수리는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A2. 리콜 대상 차량 소유자에게는 제작사에서 우편 및 문자로 상세한 시정 방법 및 절차를 안내해 드립니다.
Q3. 리콜 전 이미 자비로 수리한 경우 보상받을 수 있나요?
A3. 네, 리콜 발표 전에 자비로 수리한 경우, 해당 제작사에 수리 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Q4. 리콜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A4. 리콜 기간은 각 제작사별로 다르며, 자세한 내용은 각 제작사 고객센터나 자동차리콜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5. 리콜을 받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A5. 리콜 대상 결함은 안전과 직결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리콜을 받아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기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오닉 9 대형 전기 SUV: 가격, 보조금 적용 6천초, 트림, 주행거리 (0) | 2025.02.04 |
---|---|
기아 셀토스 하이브리드: 풀체인지 가격, 제원, 출시일 총정리 (0) | 2025.02.03 |
티켓예매, 수강신청 서버시간 설정 방법 3가지, 성공 팁 (0) | 2025.02.02 |
우수 봄의 시작: 날짜 및 절입시간, 의미와 풍습 총정리(24절기) (0) | 2025.02.01 |
쏘카 핸들러 가입 방법 : 단계별 안내 (0) | 2025.02.01 |